집의 골조 Building Frame of the House

집의 골조 Building Frame of the House

집의 골조 Building Frame of the House

집의 골조 Building Frame of the House

레스토랑 제로 Restaurant 0

이 건축물은 하나의 큰 방으로 설계되었다. 내부는 대부분 개방적이며, 전형적인 벽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공간은 바닥, 골조 벽체, 계단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이 집은 부부만을 위한 특별한 장소로 고안되었다.

사적 공간과 직업적 공간의 경계가 흐릿한 그들은 집 안 어디에서든 일할 수 있고 서로의 존재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상상했다.

이런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좁은 공간 대신 자연스럽게 내부와 외부가 교감하며, 쾌적한 환기가 가능한 유연하고 널찍한 공간을 설계했다.

결과적으로, 이 집은 자유로운 삶을 가능케 하는 강인하면서도 유연한 틀 안에서 설계된 한층 풍요로운 생활환경을 제공한다.

북쪽 측벽은 인접한 공터와 연결된 공간을 설정하기 위해 기울어지게 설계되었으며, 이는 건물 전반에 걸쳐 층별 높이와 깊이를 변화시켰다.

어긋나게 정렬된 3개의 벽과 높낮이가 조정된 7개의 바닥 슬래브는 층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서로 중첩되며 구조적으로 독특한 형태를 만든다.

이러한 설계는 자연광과 바람의 유입을 유도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시각적 차단 역할을 한다.

남쪽은 개구부가 없어 강렬한 햇빛이 차단되지만, 북쪽 측벽 상단으로는 하루 종일 햇빛이 스며들어 시간, 날씨, 계절 변화에 따른 다양한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개구부에서 내부로 더 들어가면 주방과 욕실 등 실용적 기능을 가진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반면, 도로 쪽으로 가까워질수록 개구부는 점차 더 넓어져 외부와의 연결감을 강화한다.

한정된 부지로 인해 정원이나 발코니를 둘 여유는 없었지만, 개구부를 완전히 열었을 때 내부 공간 자체가 마치 정원이나 발코니처럼 느껴지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각 층의 바닥 면적이 좁음에도 다른 층과 어우러져 함께 작동함으로써 공간적 잠재력을 극대화한다.

이러한 구조는 전용 공간 없이도 어긋난 층들 간의 상호 연계를 통해 집 전체를 하나의 통합된 공간으로 만들었다.

방문자가 현관을 시작으로 한 걸음씩 나아갈 때마다 서서히 변화하는 공간감을 경험할 수 있다.

단단한 철근콘크리트로 구성된 구조는 마치 고대 건축물을 떠올리게 하며, 사람의 움직임에 적합한 계단과 가구가 배치되어 편안함과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일상의 기능을 넘어 풍부한 경험까지 선사하는 공간이다.

벽체와 층고를 상쇄하며 구현된 이 단순한 구조는 층간의 다층적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고, 실제 면적보다 훨씬 넓고 개방적인 인상을 준다.

이는 도시라는 현실 속 한정된 부지와 상상력이 결합된 결과물로, 하나의 큰 방이라는 독특한 형태로 완성되었다.

멀리와 가까움이 공존하며, 분리와 반복이 얽혀 있는 이 집은 각 관계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단일한 구조, 즉 하나의 집을 완성한다.

This small architecture is one big room. There is not much separation wall inside,

and the space is created by the floor, frame walls and steps. The house is for a married couple.

They have vague boundary between their private and work life, therefore they were imagining a house

where they can work anywhere and where they can sense the presence of each other wherever in the house.

With such lifestyle, instead of a small spaces for a compact living, the house was designed to have large

air volume and scale that make various interactions of inside and outside space.

This led to the house of frame which is strong but flexible, where it allows a liberal way of living.

The north side wall in the building has skewed to create a space that connects to the adjacent vacant site.

Along that wall, the heights and depth of each floor had adjusted throughout the building.

These misaligned 3 walls and 7 floor slabs with different heights and depths overlap to each

other without breaking up its top and bottom. This structure creates openings that bring in natural light and breeze,

but blocks outside sight. There is no opening to the south side, thus strong sunlight does not

penetrate inside. However, natural light comes in all day from over the north side wall, allowing rich senses of time, weather, and season changes.

Read more

쏨 스토어 SOM STORE

쏨 스토어 SOM STORE

쏨 스토어 SOM STORE 쏨 스토어 SOM STORE 오리존트 ORIZZONT 쏨 스토어는 슬로바키아와 체코의 패션 디자이너 컬렉션을 한데 모은 콘셉트 매장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멀티 브랜드 공간이다. 각 디자이너가 고유의 독립적인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매장은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선 창작과 표현의 장을 제공한다. D415 설계팀은 매장의

By 관리자
오리존트 ORIZZONT

오리존트 ORIZZONT

오리존트 ORIZZONT 오리존트 ORIZZONT 티에프 TF 포르투갈의 아베이루시는 최근 기존의 산업 지대에서 물과 어우러진 새로운 풍경으로 변모했다. 2005년 시작된 ‘폴리스 아베이루’ 도시화 프로젝트는 도시와 그 주변 환경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았다. 이 계획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보행자 친화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자동차 의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