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젱통박물관 Zhengtong BMW Museum, Beijing

BMW 젱통박물관 Zhengtong BMW Museum, Beijing

BMW 젱통박물관 Zhengtong BMW Museum, Beijing

BMW 젱통박물관 Zhengtong BMW Museum, Beijing

OR 아틀리에 OR Atelier

BMW의 빈티지 차량을 전시한 박물관이 중국 베이징에서 개관했다.

Crossboundaries는 지역적 감성을 가진 중국의 수집가를 참조하여 자동차의 고급스러움을 표현할 수 있는 갤러리 공간을 디자인하였다.

박물관의 전시는 3층에서 시작된다.

2층 높이의 매력적이고 밝은 영역을 통해 들어가 속도의 움직임을 해석하는 수평의 조명 띠로 강조된 리셉션 영역을 지나게 되고,

방문객은 더 낮고 아늑한 ‘전이적’ 라운지에 도착하게 된다.

중국의 홍문(紅門)을 본 따서 설치한 붉은 패브릭의 레이어를 지나면 전시가 열린다.

전시 영역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러 구역, 진열 구역, 라운지 구역으로 세분된다.

이 층에는 흰색의 가볍고 투명한 패브릭 배너들이 열린 천장에서부터 매달려 있다.

패브릭의 수직성으로 인해 높은 층고는 사람의 크기에 비례해 낮춰지는 반면, 많은 양의 흰색 텍스타일 표면은 관대함을 나타내며,

배경으로서 중국 홍문은 장엄하고 당당한 느낌을 전달한다.

중성적인 흰색은 이곳에서 전시되는 몇 안 되는 작품들의 독특성을 강조해 준다.

수평의 조명 띠는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공간을 둘러싼 벽체에 통합된 스크린과 함께 주요 전시 영역과 안내 벽면으로 이어진다.

영상들은 좌석영역이 전시 작품 주변에 놓여 있는 공간 한 가운데의 패브릭 배너 위로도 투영될 수 있다.

4층은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방문객은 중앙에 독립적으로 설치된 계단을 따라 올라가 두 개의 기다란 자동차 전시 플랫폼 앞에 도달하게 된다.

더 많은 자동차를 전시하고 있는 4층의 주요 특징은 바로 자동차 진열이다.

이 공간은 스테인리스스틸 띠와 가장자리가 결합되고, 뒷면이 흰색으로 도색된 유리 표면으로부터 파생된 여러 개의 기다란 플랫폼으로 구성되었다.

3층과 마찬가지로, 금속선이 벽면에서 조명 띠를 형성하고, 인포메이션월은 공간 둘레에서 다시 나타난다.

스테인리스스틸 천장은 바닥보다 높은 플랫폼을 비추어 공간을 더 높고 넓게 보이게 하고, 자동차 조명을 위한 특수 조명도 여기에 결합되었다.

서로 평행한 플랫폼들은 자동차의 역사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통해 방문객에게 명확한 통로를 내 준다.

이 박물관의 경험에 방점을 찍는 것은 영화관, 오락실, 보다 작은 아이템을 위한 전시실이다.

이 공간들은 전시 영역 끝에 위치하는데, 거기서 방문객은 자연광을 따라 엘리베이터 쪽으로 안내된다.

A museum of vintage BMWs opened in Beijing, China. Crossboundaries’ design for the gallery space brings forth the exclusiveness of the cars

while it references the Chinese collector with a local touch.
The museum exhibition start

Read more

쏨 스토어 SOM STORE

쏨 스토어 SOM STORE

쏨 스토어 SOM STORE 쏨 스토어 SOM STORE 오리존트 ORIZZONT 쏨 스토어는 슬로바키아와 체코의 패션 디자이너 컬렉션을 한데 모은 콘셉트 매장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디자이너를 소개하는 멀티 브랜드 공간이다. 각 디자이너가 고유의 독립적인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 매장은 단순한 쇼핑 공간을 넘어선 창작과 표현의 장을 제공한다. D415 설계팀은 매장의

By 관리자
오리존트 ORIZZONT

오리존트 ORIZZONT

오리존트 ORIZZONT 오리존트 ORIZZONT 티에프 TF 포르투갈의 아베이루시는 최근 기존의 산업 지대에서 물과 어우러진 새로운 풍경으로 변모했다. 2005년 시작된 ‘폴리스 아베이루’ 도시화 프로젝트는 도시와 그 주변 환경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았다. 이 계획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보행자 친화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었으며 이는 자동차 의존도를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