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트 의류매장 / Haight Clothing Store
아이트 의류매장 / Haight Clothing Store
더 마켓빌딩 전시장 / The Market Building Showroom
레블롱 쇼핑몰에 들어선 아이트(Haight) 매장에는 있을 법하지 않은 무언가를 본질에 도입하는 소비 경험과 환영하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전제가 있었다.
인공적인 요소와 차가운 물성으로 규정되는 쇼핑몰의 분위기는 자연경관과 연결된 하이트의 개념적 기초와는 정반대되는 언어다.
처음으로 쇼핑몰 안에 있게 된 설계팀은 프로젝트의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설계팀은 엄격하고 통제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쇼핑몰과 매장 간의 대조적인 전략을 채택했다.
예를 들어 문이 없을 가능성 같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 말이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는 하이트의 공간을 표현하기 위해 유기적이고 절차적이며 계층화된 언어에 초점을 맞췄다.
넓은 개구부의 매장 입구는 출입을 완전히 자유롭게 하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대조를 강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외부 사이에 일종의 융합을 구축한다.
장애물로 인식될 수도 있는, 매장 중앙에 있는 기둥은 공간성을 연출하는 주된 요소가 되었다.
기둥 주변을 차지함으로써 공간에 유동성이 생겼다. 이런 배치는 매장 내부의 곡선 경로에 의해 한층 강화된다.
기둥과 천장의 결합으로 생긴 매스는 자연 동굴을 연상시키고 전체 공간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유기적인 요소가 되었다.
그 주변에 있는 높이가 서로 다른 석판 세 개는 전시 공간이자 앉을 수 있는 좌석 역할을 한다.
매장 중심을 구성하기 위해 선택된 자재는 브라질 북동부 바이아산(産) 베이지색 대리석과 동석(凍石)이다.
석판들은 서로 다른 높이와 자재로 독립성을 띠지만, 그 배열 방법은 동선을 구성하는 유닛을 형성한다.
모든 벽과 천장을 마감한 ‘테라코’라는 아크릴 소재는 자연적인 표면을 나타내는 거친 질감으로 분위기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절벽, 동굴, 종유석, 모래, 돌을 형성하는 무한하고 다양한 침식작용의 과정과 그 흔적과
형태가 있는 물의 움직임은 매장의 공간성을 위해 개발된 개념의 일부인 설계팀의 창조 과정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개념화는 공간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간접조명을 기본 요소로 사용한 조명계획에서도 발견된다.
진열 공간은 ‘벽’의 ‘절단’, 즉 물성의 전환에 의해 강조된 작업으로 간주되었다.
이 절단은 벽감 바닥의 스테인리스스틸 판을 노출시킨다.
벽감 내부에서는 붓 처리된 황동 행어가 햇빛을 더 많이 받아, 짙은 회색 톤을 발하는 동석과 함께 매장의 분위기에 활기를 주는 데 일조한다.
The design for Haight’s store at Shopping Leblon had the premise to create a welcoming environment and consumption experience that brings
something improbable in its essence. The mall’s ambiance defined by its artificial elements and cold materiality is
the opposite language of Haight’s conceptual basis which is linked to natural landscapes. Being inside
the mall for the first time, the design team faced a significant challenge for the project.
The design team adopted a contrasting strategy between the store and mall which offers opportunities such as the
possibility of not having a door, despite the rigid and controlled environment. Therefore the project focused on an
organic, procedural and layered language to represent Haight’s space.
A large opening defines the entrance to the store, leaving access completely free, which on the one hand, emphasizes the
proposed contrast and, on the other, establishes a kind of fusio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A pilla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tore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an obstacle, became the main spatiality generator.
It is from the occupation around the pillar that the space fluidity is achieved.
This disposition is enhanced by curved lines that define the path inside the st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