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이 갖는 본질적 가치는 무엇을 통해 발현될까
공간이 갖는 본질적 가치는 무엇을 통해 발현될까
형태와 구조가 드러내는 아름다움이나 분위기는 물론, 각 영역이 갖춘 기능적인 요소들, 또 기능에 대한 편의성 또한 중요한 부분이다.
아마 가치라는 건 어느 하나에서 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다양한 요소들의 적절한 배합으로 인해 생겨나는 것일 테다.
판교에 위치한 이번 프로젝트는 설계팀 Architects601이 공간의 본질적 가치를 고민하며 조성한 주거공간이다.
주거공간은 거주자의 삶, 그 일상의 배경이 되어주는 소중한 그릇이자 뿌리와 같은 장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감성과 무게감이 동시에 따르는 섬세한 설계를 요구한다.
‘뿌리’란 주로 정신을 표상하는 단어로 사용되곤 한다. 설계팀은 이러한 뿌리가 솟아난 ‘공간’을 ‘몸’으로 상정하고, 그것이 곧 공간 경험을 이끈다는 콘셉트로 주거공간을 계획했다.
그들은 과도한 장식을 지양하며 절제와 단순미가 느껴지는 공간감을 구축하고자 했다.
빛과 그림자가 표면에 닿아 나타나는 시각적 촉각, 즉 ‘질감’만이 유일하게 드러나는 표현적 요소이기를 바랐다.
이에 따라 조성된 천창은 공간이 가진 질감을 더욱 돋보이도록 곳곳에 빛을 투과하며 시간에 따라 빛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공간은 각 실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조성하여 거주자 프라이버시를 우선하는 평면구성으로 계획되었다.
가령, 거실에서 안방으로 향하는 동선에는 항상 복도라는 전이공간이 위치하며,
방과 방을 오가는 동선에도 긴 호흡의 거리를 설정하여 거주자의 내밀한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친밀한 분위기의 사적장소
이러한 표현은 주거공간이 보편적으로 지닌 친밀한 분위기를 탈피하고 추상적인 가능성과 다양성을 담아낸 영역으로서 개인 간 사적 장소를 갖는다는 의미를 지닌다.
공간의 표피라 할 수 있는 마감재 표현은 외부 노출콘크리트가 가진 정제되지 않은 감성을 내부로 그대로 들여와 마치 안으로 연속적으로 흐르는 것처럼 설계했다.
이를 통해 소재의 단일성이 공간의 순수한 아름다움으로 경험되길 의도했다.
각 물성의 고유한 질감과 마주하는 빛의 움직임은 생명력과 에너지를 드러내며,
때로는 그림자로 공간에 내려앉아 은밀하고 포근하게 거주자를 감싸주어 사유를 즐길 수 있는 특별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설계팀은 시간이 흐름에도 변하지 않는 본질적인 아름다움 혹은 가치는 무엇일까에 대한 끝없는 고민과 질문을 던진다.
또한, 드러나지 않지만 느껴지는 볼륨, 소재, 질감, 밀도, 형태 등을 통해 ‘공간의 몸’을 구축하고,
근본적이고 순수한 아름다움에 대한 경험으로 거주자를 인도하는 것. 더불어 ‘공간의 몸’으로서 존재하는 추상성과 감각의 진실이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고
단단하고 정직한 풍경이 되어, 거리에 넘쳐나는 이미지화된 공간으로부터 해방되기를 기대한다.